사업개요
사업목적
- 중소‧중견기업 제조 현장에 적합한 고도화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하여 기업의 제조혁신 경쟁력 향상 도모
지원 대상
- 국내 중소·중견기업 중 스마트공장 구축이 필요한 제조기업
지원 대상
- 정보통신기술(ICT)로 제품의 기획-설계-제조-판매 과정을 통합하여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과 연동되는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 구축 지원
2025년 스마트공장 지원 유형 및 정부지원액
-
지원 유형 상세 지원 내용 (간결 스타일) 정부지원액 (기업당 최대) 기초/ 고도화1 / 고도화2 스마트공장 도입 단계별 지원. 기초는 디지털화 중심, 고 도화1은 공정 자동화 및 데이터 분석, 고도화2는 전 공정 통합·지능화 수준. MES, ERP, IoT 센서, 설비 연동 등 포함. - 기초: 0.5~0.7억
- 고도화1: 최대 2.5억
- 고도화2: 최대 6억 (AI 적용 포함)
AI 고도화 (제조 AI 특화) 공정 예측, 품질 분석, 예지보전 등 AI 기반 스마트공장 구축. 대규모 데이터 처리, AI 알고리즘 연계, 스마트센서·클라우드 활용. - 최대 2억 (정부지원)
- 총 사업비 최대 4억
부처협업형 업종 특화형 트랙, 의약품, 식품, 산업안전 등 분야별 부처(복지부, 농식품부 등)와 협력해 특화 솔루션 적용. 인증·규제 기준 연계 가능. - 고도화: 최대 2억
- 동일수준: 최대 0.5억 (보통 50% 이내)
상생형 대기업·공공기관과 중소기업 컨소시엄 구성. 기술·데이터 공유 통해 스마트공장 공동 구축, 포스코, 삼성, 인천항만 등 참여 사례 다수. - 고도화: 최대 1.5억
- 기초: 최대 0.6억 (지원율 60% 이내)
탄소중립형 에너지 모니터링, 탄소 저감, 자동 제어 시스템 중심. ESG 대응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공고별 상이)
일반형 수준 비슷
지자체 연계형 (지역형) 지자체와 연계해 추진. 지역별 전략산업(예: 농식품, 바이오 등) 중심. 지방비 포함, 지역 기업만 신청 가능. - 평균 6,000만~8,000만
(지역별 상이)
현장자동화 및 공장운영(MES) 도입효과
구축실적













그 외 다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