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사업개요

사업목적

  • 중소‧중견기업 제조 현장에 적합한 고도화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하여 기업의 제조혁신 경쟁력 향상 도모

지원 대상

  • 국내 중소·중견기업 중 스마트공장 구축이 필요한 제조기업

지원 대상

  • 정보통신기술(ICT)로 제품의 기획-설계-제조-판매 과정을 통합하여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과 연동되는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 구축 지원

2025년 스마트공장 지원 유형 및 정부지원액

  • 지원 유형 상세 지원 내용 (간결 스타일) 정부지원액 (기업당 최대)
    기초/ 고도화1 / 고도화2 스마트공장 도입 단계별 지원. 기초는 디지털화 중심, 고 도화1은 공정 자동화 및 데이터 분석, 고도화2는 전 공정 통합·지능화 수준. MES, ERP, IoT 센서, 설비 연동 등 포함.
    • 기초: 0.5~0.7억
    • 고도화1: 최대 2.5억
    • 고도화2: 최대 6억 (AI 적용 포함)
    AI 고도화 (제조 AI 특화) 공정 예측, 품질 분석, 예지보전 등 AI 기반 스마트공장 구축. 대규모 데이터 처리, AI 알고리즘 연계, 스마트센서·클라우드 활용.
    • 최대 2억 (정부지원)
    • 총 사업비 최대 4억
    부처협업형 업종 특화형 트랙, 의약품, 식품, 산업안전 등 분야별 부처(복지부, 농식품부 등)와 협력해 특화 솔루션 적용. 인증·규제 기준 연계 가능.
    • 고도화: 최대 2억
    • 동일수준: 최대 0.5억 (보통 50% 이내)
    상생형 대기업·공공기관과 중소기업 컨소시엄 구성. 기술·데이터 공유 통해 스마트공장 공동 구축, 포스코, 삼성, 인천항만 등 참여 사례 다수.
    • 고도화: 최대 1.5억
    • 기초: 최대 0.6억 (지원율 60% 이내)
    탄소중립형 에너지 모니터링, 탄소 저감, 자동 제어 시스템 중심. ESG 대응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공고별 상이)
      일반형 수준 비슷
    지자체 연계형 (지역형) 지자체와 연계해 추진. 지역별 전략산업(예: 농식품, 바이오 등) 중심. 지방비 포함, 지역 기업만 신청 가능.
    • 평균 6,000만~8,000만
      (지역별 상이)

사업범위

스마트공장은 제품개발부터 양산까지, 시장 수요 예측 및 모기업의 주문에서부터 완제품 출하까지의 모든 제조 관련 과정을 포함합니다.

사업수준

수준총괄도

현장자동화 및 공장운영(MES) 도입효과

MES 시스템 구축을 통한 생산정보관리, 물류관리, 품질관리, 설비관리를 실현하여 현장 직접 지원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의 흐름을 원활히 하며, 필요한 정보(이력, 통계, 분석 등)를 적기에 제공함으로써 생산지원을 강화하고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 품질 향상을 실현하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사업절차

구축실적

그 외 다수 생략